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과 금융기관

by zero100 2024. 2. 14.

금융의 개념

금융이란 재화나 서비스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돈을 빌렬주거나 빌려쓰는 화폐의 융통을 말한다. 즉 상품이 개입되지 않고 화폐 그 자체의 수요,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화폐만의 독립적 유통이 금융이다. 이 경우 화폐는 미래에 이자가 첨가되어 환류할 것을 전제로 하고 유통되는 것이다.

금융에는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이 있다. 직접금융은 자금의 최종수요자와 최종공급자가 직접 자금을 거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부나 회사는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의 공급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한다. 물론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의 공급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한다. 물론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이 증권시장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증권시장은 단순히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켜 줄 뿐이다. 따라서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하는 것은 직접금융의 방식인것이다.

간접금융은 자금의 중재기관, 즉 금융기관을 사이에 두고 자금의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말한다. 예금은행과 각종 보험, 신탁 및 단기금융회사 등은 증권회사와는 달리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거래를 한다. 우리가 예금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은 예금주와는 아무런 관련없이 자금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나 기업에게 대출한다. 따라서 예금증서를 비롯한 보험증서,신탁증서, 수익증권 등을 발행하는 것은 간접금융 방식인 것이다.

 

금융시장

금융시장이란 자금거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조직이나 기구를 말한다. 금융시장은 자금의 최종 공급자인 가계와 최종 수요자인 기업으로 구성된다. 금융시장은 자금이 대부되는 기간에 따라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으로 분류된다. 대부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 금융이 거래되는 시장을 단기금융시장이라고 하고, 1년 이상인 장기금융이 거래되는 ㄴ시장을 장기금융시장이라고 한다.

단기금융시장에는 예금시장과 콜시장 및 할인시장이 있다. 콜시장은 만기가 하루에서부터 15일까지의 최단기 금융시장으로서 여기에서는 주로 금융기관 상호간의 일시적인 자금의 과부족을 조정하기 위하여 거래가 이루어진다. 할인시장은 주로 상업어음, 융통어음, 재정증권 등이 만기 도래일 이전에 거래되는 시장이다. 이러한 단기금융시장을 일반적으로 화폐시장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자본시장이라고 하는 장기금융시장은 장기대부시장과 증권시장이 있다. 장기대부시장은 기업의 설비자금과 같이 장기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을 말한다. 증권시장은 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하여 증권을 발행하고자 할 때 증권발행 업무를 대행해 주는 증권발행시장과, 우리나라의 증권거래소와 같이 발행된 증권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증권유통 시장이 있다. 

 

금융기간

금융기관이란 자금의 수요와 공급을 중개하는 기관을 말한다. 한국은행은 종래에는 금융기관을 통화창출 기능 여부에 따라 통화당국, 예금은행 및 비통화 금융기관으로 분류하여 왔다. 2001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통화금융통계 편제지침으로 삼고 있는 IMF의 기준에 따르면 금융기관이란 예금 및 금융채등의 금융부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대출 또는 유가증권 등 금융자산의 취득을 통해 다른 부문에 자금을 공급하는 금융중개활동을 하거나, 금융중개활동을 원활히 촉진시켜 주는 보조적 금융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금융기관은 그 기능에 따라 중앙은행, 예금취급기관, 보험 및 연기금, 기타금융중개기관, 금융보조기관 등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