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독과점 기업의 가격전략

zero100 2024. 1. 24. 23:38

독자적 가격전략

독과점-기업의-가격전략
독과점-기업의-가격전략

대부분의 독과점 기업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거나 상품을 차별화하고 있다. 만일 진입이 자유롭고 상품이 차별화되지 않았다면 모든 기업들은 똑같은 가격을 설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어떤 기업이 진입장벽을 형성하거나 상품을 차별화하고 있다면 경쟁기업과는 다른 수준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본 절에서 우리는 독과점 기업이 경쟁기업과는 독립적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전략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건은 한 기업의 가격결정이 다른 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과점 기업이 더 많은 이윤을 획득하는 방법 중 하나는 수요자들을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라 구분한 다음 각각의 수요에 대해 MR=MC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윤극대화를 위한 근본적인 원리로써 어떤 시장구조에서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예가 각격차별, 이부가격, 묶어 팔기, 최고 부하가격 결정, 쿠폰이용 등이다.

 

1. 가격차별 

독과점 기업이 같은 상품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격을 매겨서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변호사들이 고객의 소득정도에 따라 수임료를 다르게 받는다든지, 한국철동공 사가 노인들의 기차요금을 일반인들의 기차요금보다 싸게 부과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이 독과점 기업이 생산하는 하나의 상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위를 가격차별이라고 한다. 

 

2. 최고 부하가격 결정

가격차별을 실시하기 위해서 기업은 서로 다른 수요자들의 가격탈력성을 구분해야 한다. 그런데 때로는 기업이 소비자들의 가격 탄력성을 구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은 수요자들이 자신의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도록 상황을 만들어내고, 상황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격을 매기기도 한다. 기업은 수요가 집중될 때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높은 가격을 부과하고 그렇지 않을 때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낮은 가격을 부과하는 최고 부하가격 결정 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3. 이부가격설정

가격차별이 여의치 않는 경우에 독과점기업은 이부가격 설정방식을 이용하여 소비자잉여를 기업의 이윤으로 흡수하기도 한다. 이부가격설정은 특정한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사게 한 다음, 그것을 구매하는 양에 비례하여 추가적인 가격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골프장 회원권과 이용료, 놀이공원 입장료와 사용료, 컴퓨터 프리터와 토너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부가격설정 방식에 의하면 재화나 서비스의 사용료는 그것의 이용에 따른 한계비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가입비는 소비자잉여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하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

 

4. 할인쿠폰

우리가 슈퍼마켓에 들어가 보면 식료품에 대한 할인쿠폰을 나누어 주거나, 길거리를 지나다 보면 극장입장료의 할인쿠폰을 나누어 주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들 할인 쿠폰 중에는 일부만 이용된다고 한다. 왜 기업들은 이와 같이 일부만 이용되는 할인쿠폰을 발행하는가? 그 이유는 쿠폰이 구매자들을 차별화하는 수단이라는데 있다. 소비자들 중에는 시간에 대한 가치가 서로 다르다.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시간에 대한 가치는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므로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쿠폰을 잘라서 지갑에 넣고 다니는 시간비용이 크다고 생각하여 쿠폰이라는 장애물을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이들이 쿠폰을 현금화하는 비용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며, 이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쿠폰을 사용하기 위해 기꺼이 시간을 투자하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사람들에게 낮은 가격을 제시하게 된다.

 

5. 묶어 팔기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