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 금융과 금융기관 금융의 개념 금융이란 재화나 서비스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돈을 빌렬주거나 빌려쓰는 화폐의 융통을 말한다. 즉 상품이 개입되지 않고 화폐 그 자체의 수요, 공급에 의해 발생하는 화폐만의 독립적 유통이 금융이다. 이 경우 화폐는 미래에 이자가 첨가되어 환류할 것을 전제로 하고 유통되는 것이다. 금융에는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이 있다. 직접금융은 자금의 최종수요자와 최종공급자가 직접 자금을 거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부나 회사는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의 공급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한다. 물론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의 공급자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한다. 물론 국공채, 주식, 사채 등이 증권시장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증권시장은 단순히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 2024. 2. 14. 화폐의 역사 화폐의 변화 화폐는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자급자족의 경제구조에서 교환의 경제구조로 이행하면서 가장 먼저 화폐로서 등장하게 된 것은 소금, 곡식, 소 그리고 조개껍질 등이었다. 이러한 상품화폐들(commodity money)들은 사용가치뿐만 아니라 교환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그러나 상품화폐는 무게가 무겁거나 부피가 커서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변질되는 등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점차 이러한 결점이 없는 금속을 화폐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금속화폐 금속화폐(metallic money)는 다른 어떤 물건보다 보관과 가치유지라는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금속이 화폐로서 사용되었던 초기단계에서는 교.. 2024. 2. 13. 화폐의 정의 화폐란 무엇인가 우리의 경제생활은 항상 돈과 관련을 맺고 있다.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받고,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며, 세금을 납부하는 등 대부분의 경제활동이 화폐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화폐에 대한 정의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폐의 정의에 관해서 아직까지 일치된 견해가 없다. 다만 경제분석을 위해서는 화폐가 수행하는 기능에 의해서 그것이 정의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면 화폐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는 상품을 구입할 때 그 대가로 화폐를 지불한다. 만일 화폐가 없다면 상품의 구입은 물물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인데, 이 경우 불편함이란 상상하기도 힘들 것이다. 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쌍방이 서로 필요로 하는 상품을.. 2024. 2. 13. 정부역할과 실패의 원인 정부는 여러 가지 수단을 동원하여 시장실패를 치유하기 위하여 시장에 개입하게 된다. 그러나 정부가 개입한다고 해서 항상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개입 이전보다 자원이 더욱 비효율적으로 배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개입 그 자체가 비효율성을 가져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부개입의 효과가 정부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는 이것을 정부실패라고 한다. 정부실패의 원인 첫째, 이익집단의 개입에 의해 정부개입이 오히려 자원배분을 더울 왜곡시킬 수 있다. 자원배분과 관련된 정책결정 과정에는 여러 집단의 이해관계가 반영된다. 이들 집단에는 여론이라는 힘을 동원할 수 있는 주민들이 있고, 입법활동을 하는 정치가들이 있으며, 행정을 집행하는 관료.. 2024. 1. 26.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